지난 일주일간 가라타니 고진의 『帝国の構造 中心・周辺・亜周辺』[제국의 구조: 중심, 주변, 아주변](青土社, 2014년 8월)과 『트랜스크리틱』(도서출판b, 2013년 10월)을 읽었다. 박사논문을 쓰면서 길들여진 속독 때문인지, 찬찬히 읽으려고 노력했음에도 불구하고 놓친 논의가 적지 않다. [제국의 구조]는 강독세미나가 계획되어 있어 다시 읽게 되겠지만, [트랜스크리틱]은 아무래도 다시 읽어봐야겠다. 또 [제국의 구조]는 일본어판으로 읽어서 원전에 충실했다는 느낌이 드는데, [트랜스크리틱]은 읽으면서 의심되는 번역어가 한두 군데가 아니어서 원서를 구입할 생각이다.

[제국의 구조]는 가라카니 고진의 가장 최근의 저작으로서, [세계사의 구조]를 수정보완한 것이라고 한다. 가라타니 고진이 2012년 9월부터 두달간 [세계사의 구조]를 가지고 중국의 여러 대학에서 순회강연한 강연록을 정리한 것이라고 하는데, [세계사의 구조]를 읽어보지 못했으므로 어떤 내용이 수정보완됐는지는 모른다. 

내가 [제국의 구조]를 읽게 된 것은 가라타니 고진에 지대한 관심을 가진 어느 지인 때문이기도 하고, '식민지기 조선에 살았던 일본인'과 인터뷰하면서 들었던 "제국" 그 자체에 대한 의문 때문이기도 하다. 

우선 말해두고 싶은 것은 한국의 네이션의 역사에서 1910년(한말의 역사를 '대한제국기'와 '보호국기'로 세분화하면 1905년 '보호국기')부터 1945년까지가 '일제강점기'로 시기구분되며 '식민지의 역사'로 통칭되면서 "제국"의 경험이 사상되어왔다는 점이다. 다시 말해, 한국의 네이션의 역사에서 "제국"은 "식민통치"와 동일시되고, 이 속에서 식민지 조선인의 정치문화적 실천의 양상은 협력/(회색지대)/저항으로 도식화되어 당시의 시대상이 제대로 규명되지 못해왔다는 것이다. 일례로 나는 '만주제국'(1932~1945)의 건설 이후, 특히 1938년 총동원체제 이후 조선의 지식계를 휩쓸었던 지식인 및 사회주의자들의 대대적인 사상적 전향에 대해 제대로 규명해낸 논의를 아직까지 보지 못했다. 이제까지 본 것은 식민지 조선의 사회주의자들의 전향을 사상적 변절로 치부하거나 거기서 좀 더 나아간 것이라면 근대적 식민지 경영에 의한 생산력의 발전과 그로부터 해소되는 생산관계의 모순이라는 식민지적 근대 담론으로 대체하는 논의 정도이다. 가라타니는 제1차 세계대전 이후 각국의 사회민주주의자나 노동자가 전쟁지지로 돌아서고 제2인터내셔널이 와해된 것은 국가에 의한 잉여 가치의 재분배가 내셔널리즘을 강화하기 때문이라고 설명한다. 국외에서 얻어지는 잉여가치에 대해서는 자본도 임노동자도 공통의 이해관심을 갖는다는 것이다. "생산과정에서만 착취를 찾아내고 그것을 국가권력에 의해 해소하고자 할 때 그것은 자국의 이익을 추구하는 내셔널리즘을 초래하지 않을 수 없는 것이다"(트랜스크리틱, pp.439-40). 일본제국이 아시아를 하나의 "제국"으로 자급자족적 경제체제를 구축하고자 했을 때--『「大東亜共栄圏」の経済構想─圏内産業と大東亜建設班審議会─』(安達宏昭、吉川弘文館、2013)  참조--, 조선인은 그 잉여가치의 직접적 수혜자가 될 수 있었고 되고자 했다.

바로 이 지점, 맑스주의자들이 맑스의 [자본]에서 자본가와 임노동자를 자본(화폐)과 노동력(상품)이라는 경제적 범주의 '담지자'로서만 발견하고 주체적인 실천의 계기를 찾지 못할 때, 가라타니는 그것은 전혀 [자본]의 결함이 아니며 맑스주의자들이 자본제 경제를 '이론적' 시점에서만 바라보았기 때문이라고 말한다. 그는 우노 고조의 말을 인용하여 [자본]이 공황의 필연성을 말한 것이지 혁명의 필연성을 말하고자 한 것이 아니라고 하며, 혁명이 '실천적' 문제라고 했을 때 이 '실천적'인 것을 칸트에게서 얻을 수 있다고 말한다(트랜스크리틱, pp.440-1). 

그래서 그는 맑스의 [자본]에서 혁명운동--이제까지의 혁명운동이 폭력을 동반했다면 앞으로의 '혁명운동'은 비폭력적이기 때문에 "대항운동"이라고 한다--의 계기를 '생산양식'이 아닌 '교환양식'으로 추출해내는 한편, 그 실천의 윤리를 칸트로부터 정초한다. [트랜스크리틱]이 그 인식론적 토대를 다루었다면, [제국의 구조]는 그러한 '교환양식'의 관점에서 세계사를 재구성하고 인류의 대안을 제출한다.

가라타니 고진에게서 '교환양식'과 칸트의 윤리는 "타자의 문제"로 집중된다. 가라타니 고진에 따르면, 칸트는 경험주의와 합리주의를 "초월론적 통각X"로 넘어서고자 했고, "초월론적 통각X"는 타자의 타자성에서 주어진다. 나는 나의 얼굴을 보지 못하고 거울을 통해 보는 나의 얼굴은 나에게 '강한 시차'--역겨움으로 다가오는 이율배반--를 불러일으킨다. 그러나 타자의 타자성은 마치 죽은 자가 나에게 아무 관심이 없듯이, 미래의 타자에 대해 나는 아무말도 할 수 없듯이 이질적인 '객관성'으로 존재한다. 그래서 나는 타자를 넘어설 수 없고 타자는 내게 언제나 '초월론적 주관'으로 존재한다. 이러한 '타자'를 중심으로 하는 사고로의 전회가 칸트의 '전회'이다. 가라타니는 '초월론적'이란 무로서의 작용(존재)를 찾아낸다는 의미에서 존재론적인 동시에 '의식되지 않는' 구조를 본다는 의미에서 정신분석적이거나 구조적이라고 말한다. 그러나 '사물 그 자체'('타자')를 중심으로 하는 사고로의 전회--'나는 타자의 초월론적 주관에 의해 끊임없이 회의되고 자성된다'--라는 점에서 그는 칸트의 '전회'야말로 관계의 장을 펼쳐보이는 트랜스크리틱이라고 한다. 그리고 그는 [제국의 구조]에서 그와 같은 트랜스크리틱의 인식의 방법론을 통해 맑스의 [자본]의 이론에 기초하여 교환양식의 세계사를 재구성한 것이다. 

[트랜스크리틱]에서 "교환형태"가 [제국의 구조]에서 "교환양식"으로 용어가 바뀐 것인지 아니면 번역어의 문제인지는 찾아볼 일이고, 가라타니의 "교환양식"에 대해 간단하게 요약하자면, 씨족사회의 호수제(증여의 의무), 재분배와 수탈, 상품교환을 각각 교환양식 A, B, C로 도식화하고, 교환양식 A의 '강박적 회귀'를 교환양식 D로 규정했다. 여기서 '강박적 회귀'란 프로이드의 '죽음의 충동'과 같이 과거의 어떤 기억이 강박적으로 되살아난다는 것이다. 따라서 가라타니는 교환양식 A, B, C가 그 자신의 세계사적 실현을 통해 스스로 지양하고 그 결과 교환양식 D가 필연적으로 도래한다고 말한다.

그래서 나는 '식민지 조선에 살았던 일본인'의 "제국"의 경험에서 문뜩 헤아릴 수 없는 관용의 깊이를 발견했을 때, 그것이 혹시 "개인의 의지를 넘어선, 그리고 개인들을 조건짓는 다차원의 사회적 관계들"이라고 하는 교환양식D가 도래한 것이 아닐까 의심해본다.  

Posted by Sarantoya
,